본문 바로가기

취미 일본어/일본어 문법 최종자료실

4. 일본어 문법 조동사 1일차(끝)

이게 하루만에 끝나면 얼마나 신기하고 즐거울까요..."ㅅ");
하지만 안될끄에요....쉽지않아....즐겁지 않아....으허허허헐흙
숙소는 인터넷이 너무 느려서, 집에가면 해설과 추가부분을 작성해볼까 해요.
아 첨부파일은 하단에 한글로 올려놓습니다.

조 동 사

 

1. 조동사(助動詞)

  1) 체언 / 용언(동사나 형용사 / 형용동사)에 붙어 말의 뜻을 도움
  2) 활용되는 형태에 따라 구분 할 수 있다. 

2. 동사적 활용을 하는 조동사

구 분

의 미

조 동 사

대 상

비 고

동사형

 

활 용

사역

せる

5단동사 미연형,する

~하게 시키다

~하게 하다

させる

1단동사 미연형, くる

수동,가능

존경,자발

れる

5단동사 미연형, する

남에게 행위를 당함

남의 행위를 존경

저절로 그렇게 됨

られる

1단동사 미연형, くる

희망

たかる

동사 연용형

제3자의 희망

욕구

ほしがる

명사 등 (~ が/を + ほしがる)

제3자의 욕망

  1) 동사 미연형 + せる·させる : 사역(∼시키다·∼하게 하다)

   가. 5단동사 미연형, ·サ변동사[さ] + せる

    a. 書(か)く → 書(か)かせる → 書(か)かせます → 書(か)かせました 
    b. 母(はは)は 子供(こども)たちを がっこうへ 行かせました.(←行く) 
    c. よく けんかをして, 親(おや)を 心配(しんぱい)させました.
       (←心配(しんぱい)する) 

   나. 일단동사 미연형, カ변동사[こ] + させる
    a. いい えいがを 見させた ほうが いいですね.(←見(み)る)
    b. 先生は がくせいたちに 朝 七時半まで がっこうへ (こ)させました.
       (←來(く)る)

   2) れる / られる : 수동(受身)·자발(自發)·가능(可能)·존경(尊敬)

구분

5단동사 미연형, サ변동사[さ] + れる

일단동사 미연형, カ변동사[こ] + らせる

    a. 書(か)く → 書(か)かれる → 書(か)かれます → 書(か)かれました

   가. 수동 : ∼に[から]∼られる 형태로 남으로부터 어떤 행위를 당하는 것.
    a. わたしは ときどき 先生に 叱(しか)られました.
       (나는 때때로 선생님에게 꾸중을 들었습니다.)
    b. 日本語(にほんご)が 上手(じょうず)だと いって 先生から ほめられま
       した.
(일본어를 잘한다고 선생님에게 칭찬을 받았습니다.)
    c. どろぼうは けいさつかんに 捕(つか)まえられました.
       (도둑은 경찰관에게 붙잡혔습니다.)
    d. ゆうべ 友(とも)だちに 遊(あそ)びに 來(こ)られて 勉が できません
       でした.
(어젯밤 친구가 놀러와서 공부를 할 수 없었습니다.)
    e. 授業中(じゅぎょうちゅう), 先生に 注意(ちゅうい)されました.
       (수업중, 선생님에게 주의를 받았습니다.)

   나. 자발 : 어떤 동작이 (저절로)∼해 지다. ∼이 되다
    a. あなたからの 手紙(てがみ)が 何(なに)よりも 待(ま)たれる.
    b. 秋(あき)に なると 幼(おさな)い ころの ことが い出される.
    c. ふるさとの 母(はは)の 病(びょうき)が 案(あん)じられます. 

   다. 가능 : ∼ことが できる(∼할 수 있다)
    a. がっこうまでは 五分(ごふん)で 行かれる.
       (학교가지는 5분에 갈 수 있습니다.)
    b. 夜(よる) おそく ねると, 朝(あさ) 早(はや)く 起(お)きられません.
    c. その 質問(しつもん)には 答(こた)えられません.
       (그 질문에는 대답할 수 없습니다.)
    d. 三時まで (こ)られないと (おも)われる.
       (3시까지 올 수 없으리라고 생각된다.)
    e. 今日 午後 二時までは 完成(かんせい)されます.
       (오늘 오후 2시까지는 완성할 수 있습니다)

  ※ 하일단동사 의 가능표현의 경우 회화체에서는「られる」대신「れる」를
    사용하는
수도 있다.
    食べる→食べれる. (=食(た)べられる·食(た)べることができる) 

   라. 존경 : お∼になる(∼하시다)의 뜻으로 쓰이며, 존경을 받는 사람의
       동작을
나타냄. 존경어가 따로 있는 경우는 그 존경어를 사용하여 존경
       의 표시를 한다.
    a. あなたの 言われた ことは ほんとうですか.(당신이 말씀하신 것은 사실
        입니까?)
    b. 先生は たぶん 行かれないでしよう.
       (선생님은 아마 가시지 않을 것입니다.)
    c. あなたが 家を 出られたのは,何時ごろですか.
       (당신이 집을 나오신 것은 몇 시쯤입니까?)
    d. 先生が 敎室(きょうしつ)に (こ)られました.
       (선생님이 교실로 오셨습니다.)
    e. 先生が お話(はなし)を されました.(선생님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3. い형용사형 활용을 하는 조동사

구 분

의 미

조 동 사

대 상

비 고

형용사형

활 용

부정

ない

동사(동사형 조동사) 미연형

~하지 않(는)다

희망

たい

동사 연용형

~하고 싶다

추측

らしい

명사,

동사/い형용사/조동사 종지형,

형용동사 어간

~인것 같다

  1) 동사 / 동사형조동사[(さ)せる·(ら)れる]의 미연형 + ない : (하지)않다
     = ∼ません
   가. がっこうへ 行かない 時は いつですか.
   나. 暑(あつ)いから 窓(まど)を 閉(し)めないで ください.
   다. かれは だぶん 約束(やくそく)を 守(まも)らないでしよう.
   라. 朴さんは 今日(きょう) 來(こ)ないだろうと (おも)います.

  ※ ない 가 형용사로 사용되는 경우
   가. 없다 뜻의 ない ( ありません 의 意味로 ある(있다)의 부정을 나타낸다)

구분

있다

없다

없습니다

사물

ある

ない

ありません

사람

いる

いない

いません

    a. 今(いま)は お金(かね)が ない.
    b. つくえの 上に 本は あらない. (×) → 本は ない.(○)
    c. 敎室(きょうしつ)の 中に 人は いない.(○)

   나. 형용사, 형용동사 를 부정하는 ない (∼하지 않다)
    a. この お菓子(かし)は おいしく ない.
    b. わたしは お菓子(かし)が あまり 好(す)きでは ない. 

  2) たい / たがる

1, 2인칭 희망

동사연용형 たい

~하고 싶다

3인칭 희망

동사연용형 た

~하고 싶어 하다

   가. わたしは 水(みず)が 飮(の)みたいです.

   나. あなたも この 料理(りょうり)が 食べて 見たいですか.

   다. わたしは 一度(いちど) 日本へ 行つて 見たくなりました.

   라. お金は 借(か)りたく ありません.

   마.·遊(あそ)びに 來(き)たければ いつでも (き)なさい.

   바. 兄(あに)は いしゃに なりたがって います.

   사.·妹(いもうと)は 今度(こんど) 旅行(りょこう)を 行きたがつて いる.

  ※ ∼がる 는 체언이나 형용사,·형용동사의 어간에 접속되어 5단동사를
    만들어
주는 접미어로서「∼해 하다·∼하게 여기다」의 뜻을 나타낸다.
    かわいい → かわいがる おもしろい → おもしろがる
    不議(ふしぎ)だ → 不議(ふしぎ)がる 不便(ふべん)だ → 不便がる

 ※ 1 / 2 인칭이라도 과거의 경우에는 たがる를 써서 나타낼 수 있다.
  ·子供(こども)の ごろ,わたしは 人(ひと)の 食べて いる 物(もの)を 食べた
    がった.

  3) 추측의 조동사 : 명사, 동사/い형용사/조동사 종지형, 형용동사 어간 +
     らしい 로
‘~ 인 것 같다’라는 뜻을 나타냄 (ようだ에 비하여 객관적)

   EX : 雨が降るらしいです - 비가 올것 같습니다

        友達が きたらしい - 친구가 온것 같다

        えきからは 遠くないらしいです - 역에서 멀지 않은것 같습니다

        彼のおくさんは げんきらしい - 그 부인은 건강한것 같다

※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 ‘~답다’ 라는 뜻을 나타내며, 명사 + らしい로 씀

  EX : あの人は男らしい - 저 사람은 남자 답다

4. 형용동사형 활용을 하는 조동사

구 분

의 미

조 동 사

대 상

비 고

형용동사형

 

 

활 용

단정

명사

 

추량,비유

예시

ようだ

동사/형용사/형용동사/조동사 연체형,

연체사/조사

 

양태

(樣態)

そうだ

동사 연용형,

형용사/형용동사 어간

사물(현상)의 형태와 형질

전문

(傳聞)

そうだ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종지형

들은바를 전하다

  1) 단정의 조동사 だ :‘~ 다’

   本(ほん)だ - 책이다

  2) 양태의 조동사
   가. ~ そうだ : 동사 연용형, 형용사 어간에 접속하여 ‘~인것 같다’라는
      뜻을 가짐
    가) 주관적인 보고 느낀 상황
    나) 미래의 가능성이나 예상(과거를 사용할 수 없다)
        EX : 雨が 降りそうだ - 비가 내일것 같다.
             花が 美しそうだ - 꽃이 예쁜것 같다.
             父は 元氣そうだ - 아버지는 건강한 것 같다.

       ※ 부정형 : そうにありません。 そうにないです

       ※ 예 외 : いい -> よさそうだ(좋지않은 것 같다), ない -> なさそうだ
          (~ 아닌 것 같다)

   나. ~ ようだ : 동사/형용사 연체형, 연체사 조사에 접속 ‘~인것 같다’
      라는 뜻을 가짐
   가) 비유 : まるで ~ようだ。(마치 ~인 것 같다.=> 절대 아닌 것에 비유로
       사용함

   나) 추정 : 시각, 청각, 촉각 등 자신의 감각으로 파악한 상황을 통해 추측
       한 것
(경험적)

   다) 예시 : 예를 들어서 말하는 것
       EX : 二人はまるで夫婦のようだ - 두 사람은 마치 부부 같다
            (실제로는 아닌데 그렇게 보인다)

           なんと いったのか, 彼にも わからないようだ - 뭐라고 했는지 그로
           서도 알지 못하는 것 같다

           彼のように 正直な 人は 少ない - 그처럼 정직한 사람은 적다

 

  3) 전문의 조동사 : 남에게 들은 말을 전달할 때 사용, 동사, 형용사 종지형
     에 연결
     EX : 雨が 降るそうだ - 비가 온다고 한다

 
5. 특수활용을 하는 경우

구분

의미

조동사

대상

비 고

특 수

 

 

활 용

정중

ます

동사, 동사활용형 조동사 연용형

 

です

동사를 제외한 모든 품사

 

부정

め(ん)

 

 

과거

た(だ)

거의모든 활용형의 연용형에 접속

과거/완료/상태

  1) 체언 / 형용사 기본형 / 형용동사 어간 / 조사 + です : 정중한 단정
     (∼입니다),
だ 의 정중한 표현

   가. わたしは 高校(こうこう) 二年生(にねんせい)です.

   나. あなたの がっこうは どこですか.

   다. これは 日本語(にほんご)の 本(ほん)では ありません.英語(えいご)の

       本(ほん)です.

   라. あしたは 試驗(しけん)ですので ねつしんに 勉(べんきょう)します.

   마. あしたは 試驗(しけん)ですのに 遊(あそ)んで ばかり いる.

※ です 의 미연형 でしよう 는 동사의 기본형 에도 접속한다.

   あしたは たぶん 雨(あめ)が 降(ふ)るでしょう.

※ 형용사의 기본형 + です 는 가능하지만 형용사의 기본형 + だ 는 사용하지 
   않음

※ 동사의 기본형 + です, だ는 사용하지 않지만, 동사의 기본형 + + です,
   だ는 사용

※ 형용동사 어간 + です(~합니다) : 주로 부사 + 형용동사 어간 + です 의 꼴
   로 사용

  2) 동사의 연용형 + ます : 정중 (∼습니다)

기본형

です

ます

부정형

ではない

では ありません

ません

의문형

だか

ですか

ますか

과거형

だっだ

でした

ました

추측

/ 권유

 

でしょう

(추측 : ~이겠지)

ましょう

(권유 : ~ 합시다)

추측 / 권유

+ 의문

 

でしょうか

(상대의 추측: ~일까요?)

ましょうか

(상대의 의향 : ~할까요?)

  3) 부정의 조동사 め : ない와 뜻은 같으나, 주로 문어체에만 쓰임, 동사
     또는 동사형 조동사
미연형에 연결됨

   가. 기본형 : ぬ(ん)

   나. 연용형 : ず (EX :たべる+させる+ぬ+(に) -> たべさせず(に) 먹이지
       않고)

   다. 종지형 : ぬ(ん) (EX : ます -> ません)

   라. 연체형 : ぬ(ん) (EX : いく + れる + ぬ + とき -> いかれぬ(ん)とき
       갈수 없을때)

   마. 가정형 : ね (EX : よむ + ぬ + ば -> よまれば 읽지 않으면)

※ れば = なければ 와 의미가 같음

 

6. 활용이 없는 경우

구분

의미

조동사

대상

비 고

활 용

없 음

의지

권유

5단활용동사 미연형

~하겠다

~하자

よう

1단활용동사る제거

부정

まい

5단동사 기본형

1단동사 / 변격동사 미연형

~하지 않겠다(추정)

, 않을 것이다(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