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형용사와 형용동사를 하루에 끝내다니, 너무 무성의 할까낭....=ㅅ=;
동사의 활용을 외었다면, 형용사의 활용은 조금 친숙하게 다가옵니다만.
제대로 하지 않으면, 명사/ 동사 / 형용사 뒤에 무엇이 활용되는지 서로 꼬입니다.
제가 노트를 정리하는 이유도 이런 이유입니다. 들고다니면서 펴 볼려고....
한글파일은 맨 하단에 있습니다. 웹 형식으로 보는데 익숙하지 않다면 한글파일을 다운받아
보세요
형용사 / 형용동사
1. 형용사(形容詞)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며 명사
를 수식하거나 단독으로 술어로 사용된다.(용언)
1) 활용 형태에 따른 형용사의 구분
구 분 |
내 용 |
비 고 |
い형용사 |
어미가 ‘~ い’로 끝나는 형용사 |
|
형용동사 |
어미가 ‘~ だ’로 끝나는 형용사 |
2. 형용사의 활용(명령형은 없음)
1) い형용사
예 : うつく(美)しい 의 어미 い는 각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한다. | ||
미연형 |
美しかろう |
かろ + う ※ 활용 + 조동사 |
연용형 |
美しかった 美しくない |
かっ + た (과거형) く + ない (부정형) |
종지형 |
美しい |
활용없음 |
연체형 |
美しい |
활용없음 |
가정형 |
美しければ |
けれ + ば |
가. い 형용사의 음편 : い형용사 연용형 + ぞん(存)じます(~라고 생각합
니다), ございます(~입니다)가 올 경우 어간의 끝 음절과, 연용형
어미 'く' 가 발음하기 쉽게 변하는 현상
어간의 끝 음절 |
어간 변화 |
어미변화 |
비고 |
[u, o] 단 |
없 음 |
う |
しるい -> しるう~ |
[a] 단 |
[o] 단 |
ありがたい -> ありがとう~ | |
[i] 단 |
[u]단 요음 ( *ゅ) |
おおきい -> おおきゅう~ |
※~ です 와 ございます : ございます : ござる 의 변형
2) 형용동사(명사형용사, な형용사)
예 : しず(靜)かだ 의 어미 だ는 각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한다. | ||
미연형 |
靜かだろう |
だ + ろう |
연용형 |
靜かだった 靜かでない |
だっ + た (과거형) で + ない |
종지형 |
靜かだ |
활용없음 |
연체형 |
靜かな |
な |
가정형 |
靜かなら(ば) |
なら + ば |
가. 특수활용 형용동사 : おな(同)じだ(같다), こんなだ(~이렇다), あんなだ
(~그렇다), どんなだ(~저렇다) 등은 명사수식시 な를 생략한다
단, 뒤에 の, のに, ので 가 연결될 경우는 그대로 사용
※ 명사 / 형용동사 / 동사의 문법적 비교
구 분 |
명 사 |
형용동사 |
동 사 |
비 고 |
원 형 |
だ |
だ |
[u] 음 |
|
정 중 체 |
です |
です |
ます |
|
의 문 문 |
ですか |
ですか |
ますか |
|
부 정 문 |
でない / ではありません |
でない / ではありません |
미연형+ない |
형용동사는 명사와 활용이 비슷한 부분에 있어, 일부 책에서는 명사형용사 라고도 표현
합니다....-_- 헷갈리게 말이죠....@_@, 뭐가 비슷한지 잘 보세요~
3. 전성명사(형용사의 명사화)
1) い형용사 : 어미 い가 さ, み, け 로 바뀐다. 일반적으로 さ가 가장 많고
み 와 け는 추상명사를 의미한다.
가. 赤(あか)い : 빨갛다 / 赤み : 붉은기, 붉은빛
나. 深(ふか)い : 깊다 / 深さ : 깊이 / 深み : 깊은맛
다. 高(たか)い : 높다 / 高さ : 높이
라. 明(あか)るい : 밝다 / 明るさ : 밝기
마. 重(おも)い : 무겁다 / 重さ : 중량적 무게 / 重み : 가치적 무게
바. 寒(さむ)い : 춥다 / さむさ : 추위 / さむけ : 오한
사. 색을 나타내는 어휘는 い를 없애면 명사가 됨.
赤(あか)い、青(あお)い、白(しろ)い、黒(くろ)い、黄色(きいろ)い
2) 형용동사 : だ를 さ로 바꾼다.
가. りっぱだ : 훌륭하다 / りっぱさ : 훌륭함
나. にぎやかだ : 번화하다 / にぎやかさ : 번화함
다. はなやかだ : 화려하다 / はなやかさ : 화려함
4. 형용사의 동사화
1) い형용사 : 어미 い를 없애고 がる를 붙임 : ~그렇게 느껴지다, 그런 모습
을 보이다
2) 형용동사
가. 어미 だ → すぎる : 동작이나 상태의 도가 지나치다 (너무 ~ 하다)
나. 어미 だ → がる : 제3자가 ~ 해 하다
5. 형용사의 기본 문형(명령형은 없음)
1) 중지법 : ~하고, ~ 하여서 라는 뜻을 나타냄(원인, 나열, 비교, 설명)
가. い형용사 : 어간 + くて(어간 + く, 로 나타내기도 함)
나. 형용동사 : 어간 + で
2) 존경형
가. い형용사 : 종지형 + です
나. 형용동사 : 어간 + です
3) 부사적 용법 : 형용사 + 동사 / 형용사 / 조사
가. い형용사 : 어간 + く + 동사 (EX : 美しくなる-조용해지다)
나. 형용동사 : 어간 + に + 동사 (EX : 靜かになる-예뻐지다)
4) 가정법
가. い형용사 : 어미 い를 ければ로 바꿈
美しければ,
靜かなら(ば) (※ 형용동사의 경우 ば는 회화체에서 주로 생략)
나. 어미 だ를 だったら로 바꿈
美しかったら, 靜かだったら